본문 바로가기
Thoughts

[번역] 성경과 동성 관계에 관한 논평 - 팀 켈러

by b2winus 2017. 7. 14.

The Bible and Same-Sex Relationships: A Review Article

June 5, 2015
The relationship of homosexuality to Christianity is one of the main topics of discussion in our culture today. In the fall of 2013 I wrote a review of books by Wesley Hill and Sam Allberry that take the historic Christian view, in Hill’s words, that “homosexuality was not God’s original creative intention for humanity . . . and therefore that homosexual practice goes against God’s express will for all human beings, especially those who trust in Christ.” 
동성애와 기독교 간의 상관성은 우리 현대 문화에 중대한 주제들 중 하나이다. 2013 가을, 난 역사적 기독교 관점으로 쓴 웨슬리 힐과 샘 올베리의 저서들에 대해 논평을 썼었는데, 힐의 말을 빌리자면 “동성애는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본래 창조 의도가 아니었다… 따라서 동성애 행위는 온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뜻을 위반하는 일이며 특히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에게 더욱 그러하다.”

There are a number of other books that take the opposite view, namely that the Bible either allows for or supports same-sex relationships. Over the last year or so I (and other pastors at Redeemer Presbyterian Church in New York City) have been regularly asked for responses to their arguments. The two most-read volumes taking this position seem to be those by Matthew Vines and Ken Wilson. The review of these two books will be longer than usual because the topic is so contested today and, while I disagree with the authors’ theses, a too-brief review can’t avoid appearing cursory and dismissive. Hence the length. 
이와 반대되는 관점을 취하는 책들이 여럿 있다, 성경이 동성 관계를 허용 내지 지지한다는 입장으로 보는 책들이다. 지난 한 해동안 나는 (그리고 뉴욕에 소재한 리딤머 장로 교회에 있는 다른 목사들은) 종종 그들의 논지에 대한 입장을 질문 받았었다. 이런 입장을 취하는 책들 중 매튜 바인스과 켄 윌슨의 이 두 권이 가장 많이 읽힌 듯 하다. 이 두 권에 대한 논평은 평소보다 좀 길어질 듯 한데 해당 주제가 요즘 워낙 치열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내가 해당 저자들의 논지들에 반대하나 너무 짧은 논평은 이를 가볍게 여기거나 무시하는 듯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좀 길어졌다.
I see five basic arguments that these books and others like them make.
난 이 책들과 이와 유사한 입장들의 다섯가지 기본적 논지들을 발견한다. 

1. Knowing Gay People Personally

1. 동성애자들을 개인적으로 안다는 것
Vines and Wilson relate stories of people who were sure the Bible condemns homosexuality. However, they were brought to a change of mind through getting to know gay people personally. It is certainly important for Christians who are not gay to hear the hearts and stories of people attracted to the same sex. 
바인스와 윌슨은 성경이 동성애를 규탄한다는 입장을 취했던 사람들 중 동성애자들을 개인적으로 알게 되었을 때 그들의 생각이 바뀌게 된 사례들을 이야기 한다. 분명 동성애자가 아닌 기독교인들이 동성에 끌리는 사람들의 생각과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는 것은 중요하다.
And when I see people discarding their older beliefs that homosexuality is sinful after engaging with loving, wise, gay people, I’m inclined to agree that those earlier views were likely defective. In fact, they must have been essentially a form of bigotry. They could not have been based on theological or ethical principles, or on a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biblical teaching. They must have been grounded instead on a stereotype of gay people as worse sinners than others (which is itself a shallow theology of sin). So I say good riddance to bigotry. However, the reality of bigotry cannot itself prove the Bible never forbids homosexuality. We have to look to the text to determine that.
또한 사랑스럽고 똑똑한 동성애자들을 만나고 난 후 동성애가 죄라는 이전의 믿음을 버리는 사람들을 볼 때 난 초창기 관점들에 결함이 있었다는 것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그 관점들은 근본적으로 심각한 형태의 편견이었음이 분명하다. 이러한 관점들은 신학적, 윤리적인 원칙이나 역사적 성경의 가르침에 기반한 것일 수 없다. 대신에 그것들은 동성애자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악한 죄인들이라는 (그 자체로 죄에 대해 얄팍한 신학이다) 고정 관념에서 비롯된 것이 확실하다. 이런 편견에서 벗어난 것에 대해 난 후련하다고 말하겠다. 하지만, 편견적인 현실 그 자체로는 성경이 동성애를 금한 적 없다고 입증할 수 없다. 그것을 판단하려면 우리는 반드시 본문을 봐야 한다.

2. Consulting Historical Scholarship

2. 역사적 학문에서 조언 받기
Vines and Wilson claim scholarly research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show that biblical authors were not forbidding all same-sex relationships, but only exploitative ones—pederasty, prostitution, and rape. Their argument is that Paul and other biblical writers had no concept of an innate homosexual orientation, that they only knew of exploitative homosexual practices, and therefore they had no concept of mutual, loving, same-sex relationships. 
바인스와 윌슨은 역사적 배경의 학문적 연구가 성경의 저자들이 모든 동성애 관계를 금한 것이 아닌 착취적 관계, 즉 소성애, 매춘 그리고 강간 만을 금했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바울과 다른 성경의 저자들은 선천적인 동성애적 성향에 대한 개념 없이 오직 착취적인 동성애 관습들만 알았기에 상호 합의된, 사랑에 기반한 동성 관계에 대한 개념이 없었다.
These arguments were first asserted in the 1980s by John Boswell and Robin Scroggs. Vines, Wilson, and others are essentially repopularizing them. However, they do not seem to be aware that the great preponderance of the best historical scholarship since the 1980s—by the full spectrum of secular, liberal, and conservative researchers—has rejected that assertion. Here are two examples. 
이러한 주장들은 (사실) 1980년대에 존 보스웰과 로빈 스크로스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 바인스와 윌슨 그 부류들은 단지 그들의 주장을 되살린 것 뿐이다. 다만 그들은 1980년대 이후 대세적인 역사학계에서 - 대중적, 진보적, 보수적 학자들을 모두 포함한 영역에서, 이러한 주장을 거부한다는 것에 대해 알지 못하는 듯 하다. 여기 두 가지 사례가 있다.
Bernadette Brooten and William Loader have presented strong evidence that homosexual orientation was known in antiquity. Aristophanes's speech in Plato’s Symposium, for example, tells a story about how Zeus split the original human beings in half, creating both heterosexual and homosexual humans, each of which was seeking to be reunited to “lost halves”—heterosexuals seeking the opposite sex and homosexuals the same sex. Whether Aristophanes believed this myth literally is not the point. It was an explanation of a phenomenon the ancients could definitely see—that some people are inherently attracted to the same sex rather than the opposite sex. 
버네뎃 브루튼과 윌리엄 로더는 동성애 성향이 고대에도 이미 알려졌다는 것에 대한 강력한 증거들을 제시했다. 플라톤의 "향연 (Symposium)”에 나오는 대사에서 아리스토파네스는 제우스가 어떻게 인간 존재를 이성애자와 동성애자 반으로 나눠 창조했고, 어떻게 그들이 “잃어버린 반쪽”을 - 이성애자는 이성을, 동성애자는 동성을 찾아 연합하고 싶어하는지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여기서 아리스토파네스가 이 신화를 믿었는지 여부는 중요한 게 아니다. 이것은 고대인들 또한 분명히 인지한 현상, 즉 본질적으로 이성보다 동성에 끌리는 사람들 대한 설명이었다.
Contra Vines, and others, the ancients also knew about mutual, non-exploitative same-sex relationships. In Romans 1, Paul describes homosexuality as men burning with passion “for one another” (v. 27). That is mutuality. Such a term could not represent rape, nor prostitution, nor pederasty (man/boy relationships). Paul could have used terms in Romans 1 that specifically designated those practices, but he did not. He categorically condemns all sexual relations between people of the same sex, both men and women. Paul knew about mutual same-sex relationships, and the ancients knew of homosexual orientation. Nonetheless, Loader observes, “Nothing indicates that Paul is exempting some same-sex intercourse as acceptable” (Making Sense of Sex [Eerdmans, 2013], 137).  
바인스와 다른 이들의 주장과는 다르게 고대인들 또한 상호 합의된, 비착취적인 동성애 관계에 대해 알고 있었다. 로마서 1장에 바울은 동성애를 남자들도… "서로 향하여" 음욕이 불 일 듯 하매 (27절) 라고 묘사한다. 이것은 상호적인 것이다. 이러한 묘사가 강간이나 매춘이나 소성애 (성인과 아동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없다. (그랬더라면) 바울은 로마서 1장에서 특별히 이러한 행위를 의미하는 용어들을 사용 했겠지만 그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는 모든 남자와 여자를 포함한 동성 간의 성적 관계에 대해 명확하게 규탄한다. 바울은 상호 합의적 동성 관계에 대해 알고 있었고 고대인들도 동성애적 성향에 대해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로더의 관찰에 의하면 “바울이 어떤 동성 관계는 받아드릴 수 있는 것으로 허용했다는 그 어떤 근거도 찾아볼 수 없다.”
I urge reader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is research. A good place to start is Loader’s Sexuality in the New Testament (Westminster John Knox, 2010) or his much larger The New Testament on Sexuality (Eerdmans, 2012). Loader is the most prominent expert on ancient and biblical views of sexuality, having written five large and two small volumes in his lifetime. It’s worth noting that Loader himself doesn’t personally see anything wrong with homosexual relationships; he just—rightly and definitively—proves that you can’t get the Bible itself to give them any support.
난 독자들에게 이런 연구를 많이 접하길 권고한다. 로더의 “Sexuality in the New Testament”나 그의 더 방대한 저서 “The New Testament on Sexuality"는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다. 로더는 성에 관한 고대와 성경적 관점에 가장 저명한 전문가로서 생애에 여러권의 저서들을 남겼다. 로더 자신은 개인적으로 동성애 관계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다는 점은 주목할만 하다; 그는 단지 - 정당하고 그리고 확실하게 - 성경 자체로는 그들의 주장을 지지할 어떤 근거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을 뿐이다.

3. Recategorizing Same-Sex Relations 

3. 동성 관계를 재유형화 하려는 시도
A third line of reasoning in these volumes and others like them involves recategorization. In the past, homosexuality was categorized by all Christian churches and theology as sin. However, many now argue that homosexuality should be put in the same category as slavery and segregation. Vines writes, for example, that the Bible supported slavery and that most Christians used to believe that some form of slavery is condoned by the Bible, but we have now come to see that all slavery is wrong. Therefore, just as Christians interpreted the Bible to support segregation and slavery until times changed, so Christians should change their interpretations about homosexuality as history moves forward.  
이 책들, 그리고 유사한 주장들을 펼치는 사람들의 세번째 논지는 재유형화와 관련 있다. 과거 동성애는 모든 기독교 교회와 신학에 의해 죄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이제 많은 이들이 동성애를 노예제도나 인종차별과 같은 범주로 넣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바인스의 글에 따르면 성경은 노예제도를 지지 했었고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어떤 종류의 노예제도는 성경에서 묵인 되었다고 믿었지만 이제 우리는 모든 노예제도는 잘못된 것이란 걸 알게 되었다. 따라서 시대가 바뀌기 전까지 기독교인들이 성경을 인종차별과 노예제도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했던 것처럼, 역사의 진보를 따라 기독교인들은 이제 동성애에 대한 그들의 해석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But historians such as Mark Noll (America’s God [Oxford, 2005] and The Civil War as a Theological Crisi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06]) have shown the 19th-century position some people took that Scripture condoned race-based chattel slavery was highly controversial and never a consensus. Most Protestants in Canada and Britain (and many in the northern U.S. states) condemned it as being wholly against the Bible. Rodney Stark (For the Glory of God: How Monotheism Led to Reformations, Science, Witch Hunts, and the End of Slavery, 2003) points out that the Roman Catholic church also came out early against the African slave trade. David L. Chappell, in his history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A Stone of Hope: Prophetic Religion and the Death of Jim Crow, 2003), goes further. He proves that even before the Supreme Court decisions of the mid-1950s, almost no one was promoting the slender and forced biblical justifications for racial superiority and segregation. Even otherwise racist theologians and ministers couldn’t find a basis for white supremacy in the Bible.  
그러나 마크 놀과 같은 역사학자들은 19세기에 일부 주장했던 성경이 인종적 노예제도를 묵인한다는 입장은 큰 논란거리였고 합의된 적이 없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캐나다와 영국의 대다수의 개신교들(그리고 다수의 미국 북부 주들)은 노예제도가 전적으로 성경에 위배되는 것임을 규탄 했었다. 로니 스타크는 로마 가톨릭 교회 또한 초기에 아프리카 노예 거래를 반대했다는 점을 지적했고 데이빗 L 체플은 그의 저서에서 한층 더 나아가 1950년 중반 대법원 판결 이전에 이미 대부분 사람들이 인종적 우월의식이나 차별에 대한 빈약하고 강압적인 성경적 정당성을 주장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종주의적인 신학자들이나 목회자들조차도 성경에서 백인우월주의적인 그 어떤 근거도 찾아볼 수 없었던 것이다.
So we see that the analogy between the church’s view of slavery and its view of homosexuality breaks down. Up until very recently, all Christian churches and theologians unanimously read the Bible as condemning homosexuality. By contrast, there was never any consensus or even a majority of churches that thought slavery and segregation were supported by the Bible. Chappell shows that even within the segregationist South, efforts to support racial separation from the Bible collapsed within a few years. Does anyone really think that within a few years from now there will be no one willing to defend the traditional view of sexuality from biblical texts? The answer is surely no. This negates the claim that the number, strength, and clarity of those biblical texts supposedly supporting slavery and those texts condemning homosexuality are equal, and equally open to changed interpretations.  
따라서 우리는 교회의 노예와 동성애에 대한 관점의 유사성에 대한 주장이 무너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장 최근까지 모든 기독교 교회와 신학자들은 이의 없이 성경을 동성애를 책망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이에 반해 노예제도와 인종차별이 성경적 지지를 받는다는 주장에 합의를 이루거나 다수의 교회가 그러한 입장을 취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체플은 인종차별적인 남부 주들에서 조차 인종차별에 대한 지지를 성경에서 찾으려는 시도들이 수 년안에 무너졌음을 증명한다. 그렇다면 진심으로 수 년안에 성에 대한 성경의 전통적인 관점을 변호할 자들이 사라질 것이라 믿는 사람은 있는가? 대답은 분명 no일 것이다. 이것은 노예제도를 지지하는 본문과 동성애를 책망하는 본문들이 횟수, 설득력, 명료함에서 동일하며 해석의 여지가 열려 있다는 주장을 무효화시킨다.
Wilson puts forward a different form of the recategorization argument when he says the issue of same-sex relations in the church is like that of divorce and remarriage, Christian participation in war, or the use of in vitro fertilization. We can extend that list to include matters such as women’s roles in ministry and society, as well as views of baptism, charismatic gifts, and so on. These are “issues where good Christians differ.” We may believe that another Christian with a different view of divorce is seriously wrong, but we don’t say this means his or her view undermines orthodox Christian faith. Wilson, Vines, and many others argue that same-sex relations must now be put into this category. Since we see that there are sincere Christians who disagree over this, it is said, we should “agree to disagree.” 
윌슨은 동성 관계에 대한 교회의 입장이 이혼, 재혼, 기독교인의 전쟁 참여 혹은 체외 수정과 유사하다는, 다른 형태의 재유형화를 시도한다. 우리는 이 리스트에 사역과 사회에서의 여성의 역할이나 세례에 대한 관점들, 카리스마적 은사들 같은 것들을 넣어 얼마든지 늘릴 수 있다. 이것들은 “좋은 기독교인들이 입장을 달리하는 주제들”이다. 우리는 이혼에 대해 우리와 다른 관점을 가진 기독교인이 심각하게 틀렸다고 이야기 할 수 있을지 몰라도 그것이 그/그녀의 관점이 전통적 기독교 신앙을 약화 시킨다고 이야기 하진 않는다. 윌슨, 바인스 그리고 많은 다른 이들은 동성 관계 또한 이제 이러한 범주에 넣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실한 기독교인들 중에서도 이 문제에 반대하는 이들이 있는 것을 보니 우리는 이제 “견해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However history shows that same-sex relations do not belong in this category, either. Around each of the other items on Wilson’s list there are long-standing and historical divisions within the church. There have always been substantial parts of the church that came to different positions on these issues. But until very, very recently, there had been complete unanimity about homosexuality in the church across all centuries, cultures, and even across major divisions of the Orthodox, Roman Catholic, and Protestant traditions. So homosexuality is categorically different. One has to ask, then, why is it the case that literally no church, theologian, or Christian thinker or movement ever thought any kind of same-sex relationships was allowable until now?  
하지만 역사는 동성 관계가 이러한 범주 또한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한다. 윌슨의 리스트에 속한 다른 항목들은 교회 안에서 길고도 나뉘어진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제들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하는 상당수의 교회들이 항상 존재했었다. 이에 반해 정말 아주 최근에 이르기까지 모든 세대와 문화와 심지어 정교회, 로마 가톨릭 그리고 개신교 전통을 아우르는 모든 교파들 사이에서도 동성애에 대해 교회는 완전하게 일치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에 동성애는 범주적으로 다르다. 우리는 질문할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왜 현재에 이르기까지 말 그대로 그 어떤 교회도, 신학자도, 기독교 사상가나 기독교 운동에서도 동성 관계는 용인될만 것으로 주장하지 않았는지를?
One answer to the question is an ironic one. During the Civil War, British Presbyterian biblical scholars told their southern American colleagues who supported slavery that they were reading the scriptural texts through cultural blinders. They wanted to find evidence for their views in the Bible and voila—they found it. If no Christian reading the Bible—across diverse cultures and times—ever previously discovered support for same-sex relationships in the Bible until today, it’s hard not to wonder if many now have new cultural spectacles on, having a strong predisposition to find in these texts evidence for the views they already hold.  
이 질문에 대한 한 가지 대답은 아이러니한 것이다. 남북 전쟁 시기, 영국의 장로교 신학자들은 노예제도를 지지하는 남부 신학자들에게 그들이 문화적 색안경(눈가리개)을 쓰고 성경을 보고 있다 지적했다. 그들은 자신의 관점을 지지할 증거를 성경에서 찾길 바랬고 짜잔 - 찾았던 것이다. 만약 성경을 읽는 그 어떤 기독교인도 -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초월하여 - 이제껏 성경에서 동성 관계를 지지할 그 어떤 것도 발견하지 못했다면, 이제 새로운 문화적 색안경을 쓴 많은 이들이, 이미 자신들이 취하고 있는 관점들을 지지해줄 성경적 근거를 찾기 위해 혈안이 되있는 것은 아닐지 우리는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What are those cultural spectacles? Homosexual relationships make so much more sense to people today than in previous times because they’ve absorbed late-modern Western culture’s narratives about the human life. Our society presses its members to believe “you have to be yourself,” that sexual desires are crucial to personal identity, that any curbing of strong sexual desires leads to psychological damage, and that individuals should be free to live as they alone see fit. 
그렇다면 그 문화적 색안경은 무엇인가? 동성 관계는 사람들이 인간 존재에 대한 근대 서양문화의 내러티브들을 흡수함으로서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요즘 사람들에게 더 쉽게 수용된다. 우리의 사회는 그 사회 구성원들에게 “당신은 당신 자신이 되어야 한다”는 논리로 성적 욕구는 개인의 정체성에 중요한 부분이고 강한 성적 욕구에 대한 그 어떤 억제도 심리적인 피해를 줄 뿐더러 개개인은 자신이 원하는대로 자유롭게 살도록 해야 한다고 믿도록 촉구한다.
These narratives have been well analyzed by scholars such as Robert Bellah and Charles Taylor. They are beliefs about the nature of reality that are not self-evident to most societies, and they carry no more empirical proof than any other religious beliefs. They are also filled with inconsistencies and problems. Both Vines and Wilson largely assume these cultural narratives. These faith assumptions about identity and freedom make the straightforward reading of the biblical texts seem so wrong to them. They are the underlying reason for their views, but they are never identified or discussed. 
이러한 내러티브들은 로버트 벨라와 찰스 타일러와 같은 학자들에 의해 자세히 분석되었다. 이것들은 실재에 대한, 대다수 사회에서 자명하지도 않고 다른 종교적 신앙과 비교해 실증적인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신앙들이다. 또한 이러한 신앙들은 불일치와 문제들로 가득 차 있다. 바인스와 윌슨 모두 이러한 문화적 내러티브들을 대부분 수용한다. 정체성과 자유에 대한 신앙적 추정들은 그들로 성경을 똑바로 읽는 것이 매우 잘못된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사실 이것이야 말로 이들의 관점 이면에 깔린 이유이지만 여지껏 드러나거나 토론되지 않는다.

4. Revising Biblical Authority

4. 성경의 권위 재고하기
Vines and Wilson claim they continue to hold to a high view of biblical authority, and that they believe the Bible is completely true, but that they don’t think it teaches all same-sex relations are wrong. Vines argues that while the Levitical code forbids homosexuality (Lev. 18:22), it also forbids eating shellfish (Lev. 11:9–12). Yet, he says, Christians no longer regard eating shellfish as wrong—so why can’t we change our minds on homosexuality? Here Vines is rejecting the New Testament understanding that the ceremonial laws of Moses around the sacrificial system and ritual purity were fulfilled in Christ and are no longer binding, but that the moral law of the Old Testament is still in force. Hebrews 10:16, for example, tells us the Holy Spirit writes “God’s laws” on Christians’ hearts (so they are obviously still in force), even though that same book of the Bible tells us some of those Mosaic laws—the ceremonial—are no longer binding on us. This view has been accepted by all branches of the church since New Testament times. 
바인스와 윌슨은 그들이 여전히 성경적 권위를 인정하고 성경이 완전한 진리라고 믿지만. (성경이) 동성 관계가 잘못이라 가르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주장한다. 바인스는 비록 레위기적 관례가 동성애를 금하긴 하지만 (레 18:22), 동시에 갑각류를 먹는 것도 금하지 않느냐 (레 11:9-12) 반박하며 기독교인은 더 이상 갑각류 먹는 것을 잘못되었다 말하지 않는데 왜 동성애에 관한 우리의 입장은 바뀔 수 없는 것이냐? 묻는다. 여기서 바인스는 제사와 정결법에 관한 모세의 제의적 율법이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히 성취 되었기에 더 이상 구속력을 갖지 않지만 구약의 도덕적 규범들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신약의 이해를 거부한다. 히브리서 10:16의 예를 들자면 성령이 “하나님의 법을” 그리스도인들의 마음에 (따라서 자명하게 여전히 유효한) 두고 기록하였다 말한다, 동일한 책에서 모세 율법의 일정 부분들 - 제의적인 부분들 - 은 더 이상 우리에게 구속력을 갖지 않는다고 가르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러한 관점은 신약 시대 때부터 모든 교회 안에 교파들이 다 수용하는 바이다.
When Vines refuses to accept this ancient distinction between the ceremonial and moral law, he’s doing much more than simply giving us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he is radically revising what biblical authority means. When he says “Christians no longer regard eating shellfish as wrong,” and then applies this to homosexuality (though assuming that Leviticus 19:18—the Golden Rule—is still in force), he’s assuming that Christians themselves, not the Bible, have the right to decide which parts of the Bible are essentially now out of date. That decisively shifts the ultimate authority to define right and wrong onto the individual Christian and away from the biblical text
바인스가 이러한 고대에서부터 전해지는 제의적 율법과 도덕적 율법의 구분을 거부할 때에 그는 단순히 구약에 대한 다른 해석이 아닌 그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주장하게 된다 - 그는 급진적으로 성경의 권위를 재고하는 것이다. 그가 “기독교인들은 갑각류 먹는 것을 더 이상 잘못된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 말하며 그것을 동성애에 적용할 때에 (레위기 19:18절에 기록된 황금률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추정함에도), 그는 성경이 아닌 그리스도인들 자신이 성경의 어떤 부분이 본질적으로 시대에 뒤쳐진 것인지를 판단할 권한을 쥐고 있다는 입장을 취하게 된다. 그것은 결정적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판단할 궁극적인 권위를 성경이 아닌 개개인의 그리스도인에게 건내주는 것이다.
The traditional view is this: Yes, there are things in the Bible Christians no longer have to follow, but if the Scripture is our final authority, only the Bible itself can tell us what those things are. The prohibitions against homosexuality are re-stated in the New Testament (Romans 1; 1 Corinthians 6; 1 Timothy 1) but Jesus himself (Mark 7), as well as the rest of the New Testament, tells us the clean laws and ceremonial code is no longer in force. 
전통적인 입장은 이렇다: 분명 성경 안에는 그리스도인이 더 이상 따르지 않아도 될 것들이 있다, 하지만 만약 성경이 우리의 최종적 권위라면 오직 성경 그 자체가 우리에게 그것들이 무엇인지 알려줄 수 있다. 동성애에 대한 금지는 신약에 재차 제시된다. (로마서 1장, 고린도전서 6장, 디모데전서 1장) 반면에 예수 자신이 (막 7장) 그리고 나머지 신약 본문들은 우리에게 정결법과 제의적 관습들을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우리에게 말한다.
Vines asserts that he maintains a belief in biblical authority, but with arguments like this one he is actually undermining it. This represents a massive shift in historic Christian theology and life.
바인스는 그가 성경의 권위에 대한 입장을 고수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되려 그러한 입장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그의 주장은) 역사적 기독교 신학과 삶의 엄청난 변화를 의미한다.

5. Being on the ‘Wrong Side of History

5. 역사의 반대 입장에 서는 것이란 주장
More explicit in Wilson’s volume than Vines’s is the common argument that history is moving toward greater freedom and equality for individuals, and so refusing to accept same-sex relationships is a futile attempt to stop inevitable historical development. Wilson says the “complex forces” of history showed Christians that they were wrong about slavery and something like that is happening now with homosexuality.  
바인스보다 윌슨의 책에서 더 분명하게 제시되는 것은 역사는 개인의 더 큰 자유와 평등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것으로, 동성 관계를 수용하기 거부하는 것은 필연적 역사의 발전을 방해하는 헛된 시도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윌슨은 역사의 “복잡한 역학”은 기독교인들에게 그들이 노예제도에 대해 오류를 범했으며 그와 유사한 일이 지금 동성애와 관련되어 일어나고 있다 말한다.
Charles Taylor, however, explains how this idea of inevitable historical progress developed out of the Enlightenment optimism about human nature and reason. This is another place where these writers seem to uncritically adopt background understandings that are foreign to the Bible. If we believe in the Bible’s authority, then shifts in public opinion should not matter. The Christian faith will always be offensive to every culture at some points. 
허나 찰스 타일러는 어떻게 이러한 필연적 역사의 발전이 인간의 본질과 이성에 대한 계몽주의 낙관론에서부터 성장했는지 설명한다. 이는 해당 저자들이 얼마나 무비판적으로 성경과 이질적인 배경적 이해를 수용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또다른 대목이다. 만약 우리가 성경의 권위를 믿는다면 대중의 입장 변화는 상관 없어야 한다. 기독교 신앙은 항상 모든 문화에게 있어 일정 부분 불쾌한 것일 수 밖에 없다.
And besides, if you read Eric Kaufmann’s Shall the Religious Inherit the Earth? (Profile Books, 2010) and follow the latest demographic research, you will know that the world is not inevitably becoming more secular. The percentage of the world’s population who are non-religious, and who put emphasis on individuals determining their own moral values, is shrinking. The more conservative religious faiths are growing very fast. No one studying these trends believes that history is moving in the direction of more secular societies. 
더군다나 만약 당신이 에릭 카프만의 “Shall the Religious inherit the Earth?”라는 책을 읽고 최근 인구학계의 연구 동향을 살핀다면, 당신은 세상이 필연적으로 더 세속화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세계 인구 비율에서 무신론자와 개개인이 자신의 윤리적 가치를 판단해야 한다고 믿는 숫자는 줄어들고 있다. 더 보수적인 종교 신앙인의 숫자는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연구하는 사람들 중에서 어느 누구도 역사는 더 세속적인 사회로 향하고 있다고 믿는 사람은 없다.

Missing the Biblical Vision

성경적 관점의 실종
The saddest thing for me as a reader was how, in books on the Bible and sex, Vines and Wilson concentrated almost wholly on the biblical negatives—the prohibitions against homosexual practice—instead of giving sustained attention to the high, (yes) glorious scriptural vision of sexuality. Both authors rightly say that the Bible calls for mutual loving relationships in marriage, but it points to far more than that. 
개인적으로 독자의 입장에서 가장 슬펐던 것은 성경과 성에 대한 그들의 글에서 바인스와 윌슨이 성에 대한 성경의 드높고 영광스러운 비전에 관심을 보이기 보다 성경의 부정적 측면에 - 동성애 행위에 대한 금지들 - 거의 대부분의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In Genesis 1 you see pairs of different but complementary things made to work together: heaven and earth, sea and land, even God and humanity. It is part of the brilliance of God’s creation that diverse, unlike things are made to unite and create dynamic wholes that generate more and more life and beauty through their relationships. As N. T. Wright points out, the creation and uniting of male and female at the end of Genesis 2 is the climax of all this. 
창세기 1장에서 서로 다르지만 상호 보완적인 것들이 짝을 이루어 함께 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늘과 땅, 바다와 육지 그리고 심지어 하나님과 인류까지도. 이것은 하나님의 창조의 탁월함 중 일부로 다양하고 서로 다른 것들이 연합하여 역동적인 전체를 이루고 더욱 더 많은 생명과 아름다움을 그들의 관계 속에서 생성해내는 것이다. NT 라이트가 지적하듯이, 창세기 2장에 등장하는 남성과 여성의 창조와 그들의 연합은 이 모든 것의 정점이다.
That means that male and female have unique, non-interchangeable glories—they each see and do things the other cannot. Sex was created by God to be a way to mingle these strengths and glories within a lifelong covenant of marriage. Marriage is the most intense (though not the only) place where this reunion of male and female takes place in human life. Male and female reshape, learn from, and work together. 
이는 남성과 여성이 각자 독특하고, 상호교환될 수 없는 영광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그들은 서로가 볼 수도 할 수도 없는 것들을 한다. 성은 하나님께로 창조되어 이러한 장점들과 영광들을 결혼이라는 일생의 언약을 통해 어우러지게 하는 길이다. 결혼이란 남성과 여성이 재결합하는 가장 강렬한 (다만 유일하진 않은) 영역이다. 남성과 여성은 함께 변화되고 서로를 통해 배우며 함께 일한다. 
Therefore, in one of the great ironies of late-modern times, when we celebrate diversity in so many other cultural sectors, we have truncated the ultimate unity-in-diversity: inter-gendered marriage. 
따라서, 현재 시대의 가장 큰 아이러니들 중 하나는, 우리가 너무나 많은 다른 문화적 분야들에서 다양성을 즐기는 동안, 우리는 그 궁극적인 다양성 안에 일치인 이성 간의 결혼을 제단 해버렸다는 것이다.
Without understanding this vision, the sexual prohibitions in the Bible make no sense. Homosexuality does not honor the need for this rich diversity of perspective and gendered humanity in sexual relationships. Same-sex relationships not only cannot provide this for each spouse, they can’t provide children with a deep connection to each half of humanity through a parent of each gender. 
이러한 비전에 대한 이해 없이, 성경에 등장하는 성적 금지들은 이해될 수 없다. 동성애는 성적 관계에 있어서 이러한 풍성한 관점의 다양성과 성별의 차이를 존중하지 못한다. 동성 관계는 각자의 배우자에게 이러한 부분을 제공하지 못할 뿐더러 아이들에게 각 성별의 부모를 따른 인류의 다른 반쪽에 대한 깊은 연관성 또한 제공하지 못한다.
This review has been too brief to give these authors the credit they are due for maintaining a respectful and gracious tone throughout. We live in a time in which civility and love in these discussions is fast going away, and I am thankful the authors are not part of the angry, caustic flow. In this regard they are being good examples, but because I think their main points are wrong, I have had to concentrate on them as I have in this review. I hope I have done so with equal civility.
이 논평은 해당 저자들의 그들의 저서에서 공손하고 품위 있는 어조를 유지하는 것에 대해 칭찬하기엔 너무나도 짧다. 우리는 이러한 논의들에 있어 정중함과 사랑의 모습이 급속도로 상실되어가는 시대를 살고 있다, 이에 나는 이 저자들이 성내고 신랄한 부류에 속하지 않음에 감사를 표한다. 이 부분에 있어 그들은 좋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들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기에 난 이 논평에서 그 부분들에 집중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다만 나도 (그들처럼) 동일한 정중함으로 내 주장을 표했길 바랄 따름이다.

Matthew Vines. God and the Gay Christian: The Biblical Case in Support of Same Sex Relationships. New York, NY: Convergent Books, 2014

Ken Wilson. A Letter to My Congregation. Canton, MI: David Crum Media, 2014.


SaveSave